반응형

1. 간단하게 출력하기


펄스크립트에선 print대신 say을 사용해도 됩니다.(use 5.010; 명령어를 입력하지 않는다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use 5.010;


say "Hello World!";










2. 주석


 

그냥 주석 :        파운드기호( # )으로 시작

특별한 주석 :    첫번째줄의 가장 처음이 #! 이면 그다음은 프로그램명

                         이 경우,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파일의 나머지 부분을 실행(펄프로그램의 경로를 입력)










3. 스칼라


펄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는 것을 스칼라라 합니다. 


가) 숫자


부동소수점 상수


 2.33

 3.15e25 # 3.15 곱하기 10의 25승

 -30e-4 # -30 곱하기 10의 -4승





정수상수


 3

 2013

 -20

 1234567

 1_234_567   #위의 1234567 정수를 가독성있게 표현




십진수외 정수상수

 

 0255         #8진수 255

 0xff                 #16진수 FF

 0b11111111 #10진수 255




숫자연산자


 1 + 5   # 1 더하기 5

 2.7 - 2        # 2.7 빼기 2

 2 * 12   # 2 곱하기 12

 6 / 2           # 6 나누기 2 








나) 문자열


작은따옴표(')로 묶은 문자열 상수

 

 'alice'

 'I\'m so happy'       # 작은따옴표(')를 문자열에 넣을경우 역슬래시 앞에 추가



큰따옴표(")로 묶은 문자열 상수


 "rabbit"

 "He say, \"Hello\" "    # 큰따옴표(")를 문자열에 넣을경우 역슬래시 앞에 추가




문자열 연산

( 연결 )  

문자열값은 . 연산자로 연결할수 있습니다. 


  "hello" . " world"

  "hello" . " " . "world" 




( 문자열 반복 )

문자열값은 x 연산자로 반복할 수 있습니다. 

 "alice" x 3        # alicealicealice




















반응형

'Programming Language > Perl'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l 사용자 입력 받기  (0) 2014.01.13
Perl 비교연산자와 if제어  (0) 2013.12.27
perl 스칼라 값 할당  (0) 2013.12.24
Perl 내장경고  (0) 2013.12.24
Perl 윈도우 설치  (0) 2013.12.18
반응형

1. Perl ManPage


 http://learn.perl.org/faq/perlfaq2.html




2. perl스크립트의 인기있는 프로그래머 텍스트 편집기

가) UNIX

- emacs

- vi


나) 윈도우

- UltraEdit

- gvim (윈도우용 vi에디터)

- notepad++

- PFE (Programmer's Favorite Editor)



3. 윈도우상에서 Perl프로그램 실행해보기 


UNIX상에서, vi로 이미  테스트해보았지만, 윈도우상에서도 도전해보기로 합니다.


가)Perl 배포본 2가지

per ManPage에선 다음 2개의 Perl배포본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 StrawberryPerl http://strawberryperl.com/ )

MS VC++을 이용하여 컴파일


- ActivePerl http://www.activestate.com/activeperl )

오픈소스 컴파일러인 gcc를 이용하여 컴파일



4. StrawberryPerl 설치


국내에선 StrawberryPerl이 강세인듯 하니, 이걸 설치해봅니다.

32비트 추천버전인 5.18.1.1 버전을 다운받아 설치해봅니다. ( http://strawberryperl.com/ )







설치과정입니다.







생각보다 설치시간이 걸립니다. 대략, 6분정도 걸렸네요.







5. Perl 설치 확인




cmd.exe를  실행시켜 커맨드창에서 perl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설치된 perl의 버전을 알아보는 커맨드입니다. 


 perl -v





이제 자신이 편한 에디터를 이용하여, 개발자에게 ㄱ자와 같은 "hello world"를 출력해봅시다. 

전 vi를 너무 사랑하는 관계로 Gvim을 사용하여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Gvim설치는 다음 url을 참고하세요. ( http://stormaa.tistory.com/78 )




< hello.pl >

 

print "Hello, World!\n"











cmd창에서 방금만드 hello.pl이 있는 경로에서 다음과 같이 실행합니다.


 perl hello.pl






이와 같은 방법으로 perl를 실행시켜보세요~















반응형

'Programming Language > Perl' 카테고리의 다른 글

Perl 사용자 입력 받기  (0) 2014.01.13
Perl 비교연산자와 if제어  (0) 2013.12.27
perl 스칼라 값 할당  (0) 2013.12.24
Perl 내장경고  (0) 2013.12.24
스칼라 데이터  (0) 2013.12.19
반응형

1. gVim 설치

다음 url에서 PC: MS-DOS and MS-Windows을 선택합니다. 


 http://www.vim.org/download.php








gvim74.exe을 다운받습니다. 




파일을 실행합니다.






바탕화면에 생긴 gVim 7.4를 실행합니다.





2. gVim 환경설정

하얀 화면이 맘에 안 든다면, 좀더 환경설정을 해보도록 합시다.

색깔테마 바꾸기


 http://www.vim.org/scripts/script_search_results.php?keywords=&script_type=color+scheme&order_by=creation_date&direction=descending&search=search


여기에서 맘에드는 테마를 골라 다운받습니다.전 monokai를 선택해 설치했습니다

다음경로에 C:\Program Files\Vim\vimfiles\colors 파일을 위치한후, gVim을 실행합니다. 






편집-컬러스킨에서 다운받은 monokai를 선택합니다.





수정된 컬러스킨을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 gVim 자동설정

이제 gVim실행시, 자동으로 설정이 되게 수정해야 합니다.

우선, gVim이 설치된 경로로 갑니다. ( C:\Program Files\Vim )

_vimrc 파일을 에디터를 사용하여 수정합니다. 


전 제가 자주 쓰는 기능만 넣었습니다.복잡한 설정까진 추가 하지 않았습니다.



set nu " line number

set hls "검색어 강조기능


set expandtab "탭 문자를 공백 문자로 변환

set tabstop=4


set clipboard=unnamed " 클립보드 사용

set nobackup

set noswapfile


set guifont=나눔고딕코딩:h12:cHANGEUL "폰트를 나눔고딕코딩,크기8 로 지정

set lines=100 "창세로크기 설정

set columns=100 "창가로크기 설정

colorscheme monokai

set title "제목표시줄에 파일명 표시 


"Ctrl+e를 누르면 현재 오픈한 파일의 디렉토리에 대한 탐색기를 띄운다

map <C-e> :silent !explorer %:p:h:gs?\/?\\\\\\?<CR>

" Directory Explorer를 위한 키맵핑

":nnoremap <silent> <F5> :TagExplorer


















반응형
반응형

1. CentOs 파일 다운로드 

redhat은 유료기 때문에 무료버전인 cenos 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http://www.centos.org/modules/tinycontent/index.php?id=32











한국내 미러사이트중 땡기는 곳에서 최신 버전 경로로 이동합니다.(6.4 -> isos -> i386

32비트 컴퓨터일경우이고 64비트일경우, 6.4 -> isos ->x86_64로 이동하면 되겠습니다. 








다음파일을 다운받습니다. 

 CentOS-6.4-i386-bin-DVD1.iso 









2. virtaulbox 가상머신 만들기



virtaulbox실행후, 새로 만들기 클릭후, linux-> Redhat 선택합니다. 






gui모드를 사용하기 위해 메모리를 늘려줍니다.

이 다음부턴 defualt로 선택합니다. 

































3. VirtualBox 가상머신 설정




금방 만든 가상머신을 선택후 설정 버튼을 클릭합니다. 












gui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선택후, 48 MB 로 늘려줍니다. 












좌측에 저장소 선택후, IDE하부에 비어있음 클릭후 cd모양을 선택하여, 디스크파일 선택









다운로드 받은 centos iso파일을 선택합니다. 






4. 가상머신 시작후 centOS설치




install or upgrade an existing system을 선택합니다. 











디스크 검사는 pass후

사용언어는 영어로 선택합니다.  











키보드 언어는 us를 선택합니다. 









Basic Storage Devices를 선택합니다. 












추후, 서버에서 수정가능하므로 host name은 우선 디폴트로 설정합니다. 












시간은 아시아/서울을 선택합니다. 











root계정(관리자)의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가상머신의 메모리 공간을 그대로 사용합니다. 










write changes to disk

설치를 시작합니다. 









설치가 진행중입니다. 










재부팅을 합니다.






5. CentOS 서버의 환경설정 수정 





재부팅이 된 화면에 root계정과 계정의 비번을 입력합니다. 








네트워크 설정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다음 파일을 열고

cd /etc/sysconfig/network-scripts/


vi ifcfg-eth0

ONBOOT를 yes로 수정해줍니다. 










네트워크를 리스타트를 해줍니다. 

 /etc/rc.d/init.d/network restart










 ifconfig

virtualbox의 외부포트를 열어주기 위하여 게스트ip를 알아야 하는데

inet addr을 적어두셨다 잠시후에 쓰면 됩니다. 









6. 가상머신 네트워크 설정 수정 




이제 virtualbox관리자의 해당 가상머신의 설정에 들어갑니다. 

거기서 네트워크를 선택하고 

- 다음에 연결됨 : NAT

- 케이블연결됨 : 체크

- 포트 포워딩을 선택합니다. 









아까 적어놓은 게스트ip를 적어주고 ssh접속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적어줍니다. 추후 개방할 포트를 추가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127.0.0.1 22번포트로 ssh접속을 하면 됩니다. 





















반응형
반응형

로컬PC로 Jmeter스트레스테스트를 하게 되면 , 로컬PC의 성능이나 동시작업중인것에 따라 

스트레스 테스트가 제대로 나오지 않을수 있습니다. 


고로, 원격PC를 통해서 하게 되는데 원격PC로 테스트플랜파일을 옮겨 실행할 수도 있지만

좀더 편하고! n개 이상의 원격PC를 사용하고 싶다면 

remote 기능을 사용해야 합니다. 


간단히 말해, 유저의 PC가 masterPC  원격PC가 slavePC가 되겠습니다. 


1. 원격PC 체크

- 방화벽은 꺼주세요.

- masterPC와 Jmeter버전을 동일하게 맞춥니다. (전 이문제 때문에 작동이 제대로 되지 않았습니다 ㅜㅜ)

- 테스트서버로의 연결 허용을 확인해주세요 .




2. Master PC 환경설정 파일 수정

apache-jmeter-2.8\bin\jmeter.properties 파일의 원격PC의 IP를 적습니다.

여러개일 경우, 쉼표로 구분하여 적어줍니다. 





3. Slave PC 구동시키기

Jmter폴더로 가서 jmeter-server.bat 을 실행시킵니다. 


이런식으로 동작하면 정상적입니다. 





4. MasterPC  구동

Jmter폴더로 가서 jmeter.bat을 실행시킵니다. 



다음과 같이 아까 추가한 원격PC들의 ip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5. 테스트 실행

적당히 테스트플랜을 작성하고 

remote start -> 원격PC를 선택합니다








6. Slave PC  확인

MasterPC에서 구동한대로 원격PC에서 테스트를 시작한걸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