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hup을 사용시, nohup.out 파일이 생기게 되는데 

이 파일이 차지하는 디스크용량이 아까워 지워버리게 되면, 디스크 용량은 계속 증가하게 됩니다. 

->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 할때까지 


nohup실행시, 처음부터 nohup.out파일이 생기지 않게 실행하는게 최선입니다. 

다음과 같이 실행하면 됩니다. 

 

nohup 실행파일 1> /dev/null 2>&1 &














반응형
반응형

1. Jmeter에서 Http Proxy Server추가




워크벤치에서 http proxy server를 추가하여 줍니다.








포트 8080을 로컬에서 사용하지 않는 포트번호로 바꾸어 주세요. 

전 9999로 변경하였습니다. 






2. 인터넷 옵션 수정



이제 익스플로러에서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도록 변경해볼께요

인터넷옵션 -> 연결 -> LAN설정에서 다음과 같이 바꿔주세요. 


주소 : localhost

포트 : 9999 (아까 프록시서버 설정시 주셨던 포트로) 





3. 테스트 


jmeter로 돌아와, http proxy server에서 start 버튼을 눌러주세요 . 

request 수집을 시작합니다. 








익스플로러 창에서 네이버에 접속해봅니다. 







jmeter에 수많은 http request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으악! 근데 너무 쓸데 없는게 많죠 ? 




4. Http Proxy Server에 URL 패턴옵션 추가


테스트시, 유용한 html이나 jsp, php파일을 사용하기 위해 

proxy server에 패턴옵션을 추가해볼께요 . 정규식으로 추가해주시면 됩니다. 

html이나 php뒤에 인자가 올 경우, * 붙여주시는 거 잊지 마시구요 . 

html인 경우: .*\.html

php인 경우: .*\.php

특정 php파일인 경우: .*test\.php.*





패턴옵션 추가후 재수집 해 보면 








html파일만 수집된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 request 힘들게 추가하지 말고 편하게 추가해보아요~~  ^^ 

















반응형
반응형

1. Jmeter 설치

jmeter 홈페이지에서 apache-jmeter-x.x.tgz  파일을 다운받아 압축을 풉니다. 

http://jmeter.apache.org/download_jmeter.cgi


압축을 푼 폴더에 bin하위에 jmeter.bat을 실행시키면 사용하시면 됩니다. 




2. Jmeter 플러그인 설치

다음 url에서 JMeterPlugins-x.x.0.zip 파일을 받아 압축을 풉니다. 

https://code.google.com/p/jmeter-plugins/


압축을 푼 폴더에 보면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생기게 됩니다. 




그 중, JMeterPlugins.jar파일을 아까 설치한 jmeter폴더 하위에

lib/ext 폴더에 위치시킵니다. 



이것으로 플러그인 설치는 마무리 되었습니다. 


jmeter.bat을 실행시켜 플러그인이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해 볼까요 ?

add -> listener 클릭시, 네모상자안에 들어있는 리스너들이 추가되었으면 플러그인은 잘 설치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1. svn폴더 위치

/source/svn


2. svn Repository 생성 방법

- root로 로그인하여 저장소 생성 (2가지 중 택1)

 

# 일반 파일시스템으로 생성 

$ svnadmin create --fs-type fsfs /source/svn/project1


# berkeley db 형식으로 생성

$ svnadmin create --fs-type bdb /source/svn/project1



- 생성된 Repository에 대한 계정설정파일 수정

  /source/svn/project1/conf/svnserve.conf

  # 인증받지않은 사용자에 대한 권한 (none)

anon-access = none

# 인증받은 사용자에 대한 권한 (write)

auth-access = write


# passwd 파일로 패스워드를 관리한다.

password-db = passwd



/source/svn/project1/conf/passwd

# 유저계정정보

user = password


- trunk, branches, tags 디렉토리 생성

$ svn mkdir svn://localhost/project1/trunk --username user

$ svn mkdir svn://localhost/project1/branches --username user

$ svn mkdir svn://localhost/project1/tags --username user

















반응형
반응형

 

NSString *udid =[[UIDevice currentDevice] uniqueIdentifier];

 

NSLog(@"udid = %@", udid);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