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소스 내려받기

svn checkout[co] http://192.168.0.128/svn/sandbox (sandbox 디렉토리에 체크아웃받음)
svn checkout[co]
http://192.168.0.128/svn/sandbox source (source 디렉토리에 체크아웃받음)

 

 

2. 소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svn update[up]

 

 

3. 소스 변경사항 적용하기

svn commit[ci] -m "수정사항에 대한 메시지 입력"

* 주의점 - 커밋전에는 update를 실행하여 최신소스로 변경하고, make를 실행시켜 컴파일이 성공했을 경우에만 커밋해야함.

 

 

4. 소스 차이점 비교

svn diff
svn diff -r 4 (리비전 4와 비교)
svn diff -r 4 test.c (리비전 4의 test.c 파일비교) 

 

 

5. 소스의 리비전 로그 보기

svn log
svn log -r 4 (리비전 4의 변경사항 로그 보기)
svn log -r 4 test.c (리비전 4의 test.c파일의 변경사항 로그 보기)
svn log -r 4:5 (리비전 4~5의 변경사항 로그 보기)

 

 

6. 파일 import 하기

*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은 저장소에 맨 처음 소스를 넣을때 사용.

 

 

7. 파일 export 하기

* 체크아웃과는 달리 버전 관리 파일들을 뺀 순수한 소스 파일을 받아옴.

 

 

8. 새로운 파일 추가하기

svn add newfile.c

* 실제 변경사항은 커밋시에 적용됨.

 

 

9. 새로운 디렉토리 만들기

svn mkdir newdir

* 실제 변경사항은 커밋시에 적용됨.

 

 

10. 파일/디렉토리 삭제하기

svn delete[del, rm, remove] newfile.c

* 실제 변경사항은 커밋시에 적용됨.

 

 

11. 파일 이동하기

svn move[mv] test.c ./src/

* 실제 변경사항은 커밋시에 적용됨.

 

12. 파일 리스트 확인하기

 

 

13. 이전 작업들 되돌리기

svn revert (현재 디렉토리의 작업들 되돌리기)
svn revert newdir (newdir에 작업했던 내용들 되돌리기)

* 커밋전의 작업내용들을 되돌림. 커밋후에는 되돌릴 수 없음.

 

 

14. 소스 파일에 작업한 내용 확인하기

svn blame test.c
svn blame -r 4 test.c

* 한 소스파일을 대상으로 각 리비전에 대해서 어떤 행을 누가 수정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명령.
* 출력 순서는 리비전, 커밋한 사용자의 ID, 소스 순임.

 

 

15. 파일 이름 변경하기

svn rename[ren] test.c sample.c

* 실제 변경사항은 커밋시에 적용됨.

 


16. 소스 서버 변경하기

svn switch --relocate [이전주소] [새로운주소]

 

 

 

 

 

 

 

 

 

 

반응형

'Linux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RPM 명령어  (23) 2024.06.17
리눅스 PING 차단&허용  (0) 2015.05.07
SCP 명령어 사용법  (2) 2015.04.27
하드디스크 쓰기 속도 측정 방법  (0) 2015.04.23
랜선 연결 확인하는 방법  (0) 2015.04.23
반응형

리눅스에서 FTP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게 파일을 복사하는 방법으로는 SCP 커맨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SCP는 Secure CoPy의 약자로 보안이 강화된 복사를 뜻한다.

FTP를 자주 사용해봤다면 FTP를 이용해 디렉토리를 복사하는게 쉽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주로 스크립트를 만들어 사용한다.)

반면, SCP는 파일뿐만 아니라 디렉토리까지 깔끔하게 복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SSH와 동일한 포트(22)를 사용하여 SSL기반의 세션 보안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보안측면에서도 FTP보다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FTP를 사용하기 위해서 21번 포트가 OPEN되어 있어야 하는것처럼 SCP를 사용하려면 22번 포트가 OPEN되어 있어야 한다.

 

SCP 커맨드를 사용해 파일을 복사하는 명령은 아래와 같다.

# scp [File Name] [User Name]@[Dest Addr]:[Dest Path]

 

File Name은 복사하려는 파일 이름을 지정한다.

User Name은 복사하려는 목적지의 계정에 대한 유저이름을 지정한다.

Dest Addr은 복사하려는 목적지의 주소를 지정한다. (IP Address 또는 Domain Name)

Dest Path는 복사하려는 목적지의 파일 저장 경로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192.168.0.10번 서버의 testuser 계정의 홈디렉토리로 testfile 파일을 전송하는 커맨드는 아래와 같다.

# scp testfile testuser@192.168.0.10:~/ 

 

마지막으로 SCP 커맨드를 사용해 디렉토리를 복사하는 명령은 아래와 같다.

# scp -r [File Name] [User Name]@[Dest Addr]:[Dest Path]

 

파일복사 커맨드에 -r만 추가해 주면 된다.

 

예를 들어, 192.168.0.10번 서버의 testuser 계정의 홈디렉토리로 testdir 디렉토리와 하위의 다렉토리/파일들을 전송하는 커맨드는 아래와 같다.

# scp -r testdir testuser@192.168.0.10:~/  

 

 

 

 

 

 

 

 

 

 

 

 

 

반응형

'Linux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PING 차단&허용  (0) 2015.05.07
SVN 사용법 정리  (0) 2015.04.28
하드디스크 쓰기 속도 측정 방법  (0) 2015.04.23
랜선 연결 확인하는 방법  (0) 2015.04.23
리눅스 캐쉬 메모리 삭제하는 방법  (0) 2013.12.20
반응형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의 읽기/쓰기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dd 커맨드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dd if=/dev/zero of=/testfile count=4000 bs=1024k

 

if는 Input File을 의미하며 보통 리눅스 설치시 기본적으로 생성되는 제로파일을 사용한다.

of는 Output File을 의미하며 Input File을 복사하여 저장할 파일의 위치를 지정한다.

bs는 Block Size를 의미하며 Input File을 한번에 읽을 사이즈를 지정한다. (보통 1024k 사용)

count는 Input File을 Block Size만큼 몇번을 읽어서 Output File에 저장할지를 지정한다.

 

즉, 위의 커맨드대로 실행하면 약 4GB의 파일에 대한 쓰기 시험이 되는 셈이다.

(1024k X 4000번 = 1024000 X 4000 = 4096000000 = 약 4GB)

 

마지막으로 위의 커맨드로 두 종류의 하드웨어에서 시험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4GB에 대한 쓰기 속도 측정)

 

1. 320G 5400RPM 노트북 하드 1개를 장착한 시스템

# dd if=/dev/zero of=/testfile count=4000 bs=1024k
4000+0 records in
4000+0 records out
4194304000 bytes (4.2 GB) copied, 101.293 seconds, 41.4 MB/s

 

2. 500G 서버용 하드 4개로 RAID5 구성된 서버 시스템

# dd if=/dev/zero of=/testfile count=4000 bs=1024k
4000+0 records in
4000+0 records out
4194304000 bytes (4.2 GB) copied, 5.70978 s, 735 MB/s

 

속도의 차이는 실로 어마어마하다~!!!

 

 

 

 

 

 

 

 

 

 

반응형

'Linux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N 사용법 정리  (0) 2015.04.28
SCP 명령어 사용법  (2) 2015.04.27
랜선 연결 확인하는 방법  (0) 2015.04.23
리눅스 캐쉬 메모리 삭제하는 방법  (0) 2013.12.20
VirtualBox에 CentOS 6.4 설치하기  (4) 2013.07.24
반응형

리눅스에서 실제 물리적인 랜선이 이더넷카드에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동작중인지를 확인해야할 경우가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럴 경우 mii-tool 커맨드를 사용하여 연결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sbin/mii-tool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에는 eth0, eth1 등등의 eth 인터페이스와 bond0, bond1과 같은 bond 인터페이스등의 모든 인터페이스를 지정할 수 있다.

실제 랜선이 연결되어 있다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출력된다.

 

# /sbin/mii-tool eth0
eth0: negotiated 100baseTx-FD flow-control, link ok 

 

실제 랜선이 연결되어 있지않다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출력된다.

 

# /sbin/mii-tool eth0
eth0: no link

 

해당 커맨드는 root계정에서만 실행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간만에 티스토리 블로그에 들어와보니,

제 블로그에 접속이 되질않고 

계속 이상한 사행성 사이트로 접속이 되는겁니다.


깜짝 놀라서 PC가 해킹이 되었나 했더니 브라우저를 바꿔가며 해봐도 마찬가지였어요.






혹시나 티스토리가 해킹되었나 확인해보니 티스토리 공홈은 멀쩡하네요.






저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거쳐 원상복구 시켰습니다.

티스토리 공홈으로 접속해서 해당 블로그 관리페이지에 들어가보았습니다.



제가 올리지 않은 광고성글이 올라가있는걸 확인했습니다. 

해킹을 당한듯 하였습니다. ㅠㅠ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블로그를 원상태로 복구시켰습니다.






1. 블로그 메인에 댓글 및 트랙백 옵션 수정


 

관리자페이지 - 꾸미기 - 화면설정 - 화면출력 - 펼침설정




블로그에서 댓글이나 트랙백을 펼침으로 설정한 경우에 

내용이 띄워지기 때문에 악성코드에 노출이 될 수 있습니다.

펼침 옵션을 해지해주세요. 





2. 이상한 글 지우기


 

관리자페이지 - 글관리 - 글목록 - 게시글 확인



관리자 도구에서 자기가 쓴 글이 아닌 다른 글이 있다면 삭제해주세요.

저는 이미 지워 남아있지 않네요.

2개정도 광고성 글을 적어놓았더라구요. 






네이X 홈페이지에는 아직 해킹당해 올린글이 노출이 되네요. 





3. 이상한 댓글 지우기



 관리자페이지 - 글관리 - 글목록 - 댓글 확인



댓글 중 내용이 외국어로만 가득하거나 이상함이 묻어날경우, 과감히 삭제해주세요.





4. 이상한 트랙백 지우기


 

관리자페이지 - 글관리 - 글목록 - 트랙백 확인



트랙백의 내용이 외국어로만 가득하거나 이상함이 묻어날경우, 과감히 삭제해주세요.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쳤지만 블로그가 정상화 되지 않아서 좀 더 진행하였습니다.




5. 구글 웹마스터 도구로 확인


 

https://www.google.com/webmasters/tools/home?hl=ko



다음의 사이트에서 접속해서 진행하면 되나보던데, 전 소유권이 확인되지 않는다며... 

진행이 안돼 포기했습니다.



6. 스킨 html 수정


 

관리자페이지 - 꾸미기 - HTML/CSS편집 - skin.html



저는 이 경우 때문이었습니다. 

해킹을 당하지 않은 이상 윗 과정으로 충분할듯 한데 전 해킹을 당해서 ㅠㅠ 



소스를 보니 다음과 같이 자동으로 페이지가 열리는 스크립트를 껴놓았더라구요.


저런 소스부분을 삭제하거나 

어려우시다면 관리자페이지 - 꾸미기 -스킨에서 스킨을 복원해주세요.





 


 


추후, 블로그를 이것저것 수정해놓은걸 확인하고 다음 부분을 수정하시라 올립니다.


7. 블로그 API수정


블로그글을 확인하다보니, 주소가 이상하게 찍히는걸 보았습니다.


 

관리자페이지 - 글관리 - 글설정 - 블로그API



나중에 수정하려고 블로그API까지 걸어놓았네요. 사용안함으로 수정해주세요.




8. 블로그 주소 수정


 

관리자페이지 - 환경설정 - 기본정보 - 블로그정보 - 블로그주소



2차주소까지 수정한 걸보니 굉장히 치밀하네요.

2차주소를 사용 안하는걸로 수정해주세요.






해킹이 간만에 심쿵하게 만들었어요~~ 

아직도 좀더 확인을 해봐야 할듯해요.

다들 비밀번호를 어렵게 수정을 해주시고 다른 정보 있으면 댓글로 공유부탁드려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