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avigator에서 new-other-Project from SVN을 선택하고 Next를 눌러주세요.
사용하고자 하는 Repository의 위치가 추가되어있지 않다면 Respoisory의 위치를  추가해야겠죠?
Create a new repository location을 선택하시고 Next 눌러주세요.





URL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넣어주고 Browse를 눌러 세부경로를 정합니다.
세부경로까진 기억이 잘 안 나니깐 우선 리파지토리로 로그인한 후 , 선택하는거죠.

svn : //ip/userid 
user : svn리파지토리 id
password : svn리파지토리 비밀번호
Save authentication : 이걸 체크해주시면 아이디랑 비번이 저장되겠죠 ^^
 






Browse를 누른 화면입니다.

또 3가지 폴더가 보이시죠?

trunk - 소스의 주 개발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branches - 소스의 실험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소스의 현재 버전을 유지보수 하고, 현재 버전을 기반으로 차기 버전을 개발할 경우 이 폴더 이용
tags - 현재 릴리즈된 소스를 관리하기 쉽게 따로 보관하는데 사용. 즉, 개발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보관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export만 해야 한다. 체크아웃하여 커밋 할 경우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다.
 
여기서 저희가 테스트프로젝트를 저장했던 branches-test프로젝트를 선택하여 줍니다.



세부경로까지 선택한 화면입니다.
이제 Next를 눌러주세요.



checkout from svn
해당 프로젝트가 여러버전이 존재할텐데요.
아래 옵션을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보통 최신본으로 하죠. ^^

Head Revision : 최신
Date : 날짜와 시간
Revision : 저장된 버전중 골라서
 




그뒤로 Next해주시면 다음화면이 뜨면서 프로젝트가 다운로드 됩니다.














 

반응형

'Programming >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에서 ICMP(핑) 응답 허용하기  (2) 2012.05.24
톰캣 Heap Size 설정  (0) 2011.12.29
톰캣 설치  (7) 2011.12.29
이클립스 SVN 사용법 - 프로젝트 업로드  (2) 2011.11.14
이클립스 SVN 플러그인 설치  (0) 2011.1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