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est프로젝트를 SVN에 업로드 하려고 합니다.
프로젝트를 선택하시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Team-ShareProject를 선택해주세요. 





SVN을 선택하시고 Next버튼을 눌러주세요.






기존에 사용하던 SVN Repository가 있다면 선택한 후 하위경로를 더 써주면 됩니다.
사용하던 Repository가 없을 경우는 다음과 같이 URL에 입력합니다.





url에 svn://ip/계정을 입력합니다.
url옆에 browse를 누르고 사용자인증을 거치게 되면 

 

현재 계정밑에 유지되고 있는 3가지 폴더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저 3가지 폴더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trunk - 소스의 주 개발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branches - 소스의 실험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소스의 현재 버전을 유지보수 하고, 현재 버전을 기반으로 차기 버전을 개발할 경우 이 폴더 이용
tags - 현재 릴리즈된 소스를 관리하기 쉽게 따로 보관하는데 사용. 즉, 개발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보관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export만 해야 한다. 체크아웃하여 커밋 할 경우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다.
 
 
저흰 주개발 업무를 위한 trunk를 선택한 후 프로젝트명을 추가해줍니다.

 

이제 프로젝트 생성 로그를 박아주시고






commit 로그도 입력해 줍니다.
로그의 생활화는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

'Programming >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에서 ICMP(핑) 응답 허용하기  (2) 2012.05.24
톰캣 Heap Size 설정  (0) 2011.12.29
톰캣 설치  (7) 2011.12.29
이클립스 SVN 사용법 - 프로젝트 다운로드  (2) 2011.11.17
이클립스 SVN 플러그인 설치  (0) 2011.11.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