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톰캣 다운로드 및 설치

톰캣 설치전, JDK를 꼭 깔아주세요. ^^ 

톰캣의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http://tomcat.apache.org/




각자 사양에 맞게 설치파일을 다운받습니다.
전 Window32비트 체제이므로  32-bit/64-bit Windows Service Installer을 선택했습니다. ^^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합니다.
Next를 눌러주세요



I Agree. 동의합니다.



기본선택 항목대로 하고 Next합니다.
Start Menu Items : 시작메뉴에 넣을 것인가?
Documentation : 톰캣 Document설치
Manager : 톰캣 매니저 설치



톰캣은 8080포트가 진리죠 http port는 그대로 8080으로 사용하고
만약, 다른프로그램에서 8080포트를 사용하고 있다면, 안 쓰는 포트로 바꿔줘야 겠죠? ㅎ 
톰캣 Administrator에서 사용할 아이디와 비번을 정해줍니다.



java가 설치된 경로로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Next를 눌러주세요.



톰캣설치경로는 자신의 편의에 맞게 수정하여줍니다.



설치가 완료됐습니다.
톰캣 실행 및 readme파일 보기는 해제시켜주고 Finish~




 환경변수 설정

내컴퓨터-속성-고급시스템설정-환경변수
- path 설정(시스템변수)
톰캣의 bin폴더를 추가하여줍니다.
C:\Tomcat 7.0\bin;



톰캣설치폴더안의 api jar파일들(jsp-api.jar, servlet-api.jar, el-api.jar)을 
자바가 설치된 폴더 밑의 C:\jdk1.7.0_02\jre\lib\ext에 복사하여줍니다.



- classpath 설정(시스템변수)
방금 jAVA설치폴더 밑에 옮긴 jar파일들의 경로를 추가하여 줍니다.
C:\jdk1.7.0_02\lib\ext\jsp-api.jar;
C:\jdk1.7.0_02\lib\ext\servlet-api.jar;

 
- JAVA_HOME 설정(시스템변수)
JAVA의 설치경로를 입력하여 준다.
C:\jdk1.7.0_02



- CATALINA_HOME 설정(시스템변수)
톰캣설치폴더를 입력한다.
C:\Tomcat 7.0

 
 


 설치 확인하기
 
톰캣설치 폴더(C:\Tomcat 7.0\bin)의 Tomcat실행파일을 실행한다.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수 있다.



인터넷창에 http://localhost:8080을 입력하여 톰캣초기화면이 뜨는지 확인한다.



 












 
반응형
반응형

1. 숨김파일 보기
- [터미널]을 실행시킨다. (Control + Space 키를 눌러 [스포트라이트]에서 터미널 입력 후 실행)
- 프롬프트상에서 아래의 명령을 입력한다.

defaults write com.apple.Finder AppleShowAllFiles YES


- Command + Option + ESC 키를 눌러 [응용 프로그램 강제 종료]를 실행시킨다.
- [Finder]를 강제 종료 시킨 후 다시 Finder를 실행시킨다.


2. 숨김파일 감추기
- [터미널]을 실행시킨다. (Control + Space 키를 눌러 [스포트라이트]에서 터미널 입력 후 실행)
- 프롬프트상에서 아래의 명령을 입력한다.

defaults write com.apple.Finder AppleShowAllFiles NO


- Command + Option + ESC 키를 눌러 [응용 프로그램 강제 종료]를 실행시킨다.
- [Finder]를 강제 종료 시킨 후 다시 Finder를 실행시킨다.


* 숨김파일은 Unix/Linux 기반의 운영체제에서 . 으로 시작하는 파일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xcode 4.2에서 4.1로 다운그레이드 하려고 xcode 새로 설치중 itunes를 종료하라는 팝업창이 출력되었는데, 실제로 itunes를 종료시켜도 팝업창이 사라지지 않고, 설치가 진행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문제는 커널에 itunes 프로세스가 살아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며, itunes 프로세스를 제거(kill)해 주면 설치가 계속 진행됩니다.

[해결방법]

1. 터미널을 실행시킵니다. (Lion기준 Launch Pad ->유틸리티 -> 터미널)

2. 아래의 커맨드를 실행시킵니다. (iTunes에서 T가 대문자입니다.)
ps aux | grep -v grep | grep iTunes

3. (2)번의 커맨드를 실행시키면 아래의 결과가 출력됩니다.
OYH            30720   0.0  0.1  2487008   4720   ??  S     9:42AM   0:00.07 /Applications/iTunes.app/Contents/MacOS/iTunesHelper.app/Contents/MacOS/iTunesHelper -psn_0_454767

4. (3)번의 빨간색 숫자가 PID(프로세스 아이디)이며, 해당 프로세스를 KILL해 줍니다.
kill -9 30720


자~!! 이제 설치가 계속 진행되시죠~? ^0^











반응형
반응형


navigator에서 new-other-Project from SVN을 선택하고 Next를 눌러주세요.
사용하고자 하는 Repository의 위치가 추가되어있지 않다면 Respoisory의 위치를  추가해야겠죠?
Create a new repository location을 선택하시고 Next 눌러주세요.





URL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넣어주고 Browse를 눌러 세부경로를 정합니다.
세부경로까진 기억이 잘 안 나니깐 우선 리파지토리로 로그인한 후 , 선택하는거죠.

svn : //ip/userid 
user : svn리파지토리 id
password : svn리파지토리 비밀번호
Save authentication : 이걸 체크해주시면 아이디랑 비번이 저장되겠죠 ^^
 






Browse를 누른 화면입니다.

또 3가지 폴더가 보이시죠?

trunk - 소스의 주 개발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branches - 소스의 실험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소스의 현재 버전을 유지보수 하고, 현재 버전을 기반으로 차기 버전을 개발할 경우 이 폴더 이용
tags - 현재 릴리즈된 소스를 관리하기 쉽게 따로 보관하는데 사용. 즉, 개발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보관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export만 해야 한다. 체크아웃하여 커밋 할 경우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다.
 
여기서 저희가 테스트프로젝트를 저장했던 branches-test프로젝트를 선택하여 줍니다.



세부경로까지 선택한 화면입니다.
이제 Next를 눌러주세요.



checkout from svn
해당 프로젝트가 여러버전이 존재할텐데요.
아래 옵션을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보통 최신본으로 하죠. ^^

Head Revision : 최신
Date : 날짜와 시간
Revision : 저장된 버전중 골라서
 




그뒤로 Next해주시면 다음화면이 뜨면서 프로젝트가 다운로드 됩니다.














 

반응형

'Programming >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에서 ICMP(핑) 응답 허용하기  (2) 2012.05.24
톰캣 Heap Size 설정  (0) 2011.12.29
톰캣 설치  (7) 2011.12.29
이클립스 SVN 사용법 - 프로젝트 업로드  (2) 2011.11.14
이클립스 SVN 플러그인 설치  (0) 2011.11.14
반응형


test프로젝트를 SVN에 업로드 하려고 합니다.
프로젝트를 선택하시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Team-ShareProject를 선택해주세요. 





SVN을 선택하시고 Next버튼을 눌러주세요.






기존에 사용하던 SVN Repository가 있다면 선택한 후 하위경로를 더 써주면 됩니다.
사용하던 Repository가 없을 경우는 다음과 같이 URL에 입력합니다.





url에 svn://ip/계정을 입력합니다.
url옆에 browse를 누르고 사용자인증을 거치게 되면 

 

현재 계정밑에 유지되고 있는 3가지 폴더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저 3가지 폴더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trunk - 소스의 주 개발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branches - 소스의 실험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소스의 현재 버전을 유지보수 하고, 현재 버전을 기반으로 차기 버전을 개발할 경우 이 폴더 이용
tags - 현재 릴리즈된 소스를 관리하기 쉽게 따로 보관하는데 사용. 즉, 개발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보관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export만 해야 한다. 체크아웃하여 커밋 할 경우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다.
 
 
저흰 주개발 업무를 위한 trunk를 선택한 후 프로젝트명을 추가해줍니다.

 

이제 프로젝트 생성 로그를 박아주시고






commit 로그도 입력해 줍니다.
로그의 생활화는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

'Programming >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에서 ICMP(핑) 응답 허용하기  (2) 2012.05.24
톰캣 Heap Size 설정  (0) 2011.12.29
톰캣 설치  (7) 2011.12.29
이클립스 SVN 사용법 - 프로젝트 다운로드  (2) 2011.11.17
이클립스 SVN 플러그인 설치  (0) 2011.11.14
반응형


 플러그인 다운로드
 
 참조 : http://www.eclipse.org/subversive/downloads.php

메뉴바에 Help-Install New Software로 들어가 다음의 사이트들을 추가합니다.
- Subversive plug-in 설치 

 
[ http://download.eclipse.org/technology/subversive/0.7/update-site/ ]
그림의 항목을 선택후 Next



Subversive SVN Connector
http://www.polarion.org/projects/subversive/download/eclipse/2.0/update-site/]
체크된 항목을 선택후 Next



Next 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설치 확인
 
package Explorer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누르고
new - other 에서 다음과 같이 SVN항목이 뜨는걸로 확인 가능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