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소스 내려받기

svn checkout[co] http://192.168.0.128/svn/sandbox (sandbox 디렉토리에 체크아웃받음)
svn checkout[co]
http://192.168.0.128/svn/sandbox source (source 디렉토리에 체크아웃받음)

 

 

2. 소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svn update[up]

 

 

3. 소스 변경사항 적용하기

svn commit[ci] -m "수정사항에 대한 메시지 입력"

* 주의점 - 커밋전에는 update를 실행하여 최신소스로 변경하고, make를 실행시켜 컴파일이 성공했을 경우에만 커밋해야함.

 

 

4. 소스 차이점 비교

svn diff
svn diff -r 4 (리비전 4와 비교)
svn diff -r 4 test.c (리비전 4의 test.c 파일비교) 

 

 

5. 소스의 리비전 로그 보기

svn log
svn log -r 4 (리비전 4의 변경사항 로그 보기)
svn log -r 4 test.c (리비전 4의 test.c파일의 변경사항 로그 보기)
svn log -r 4:5 (리비전 4~5의 변경사항 로그 보기)

 

 

6. 파일 import 하기

*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은 저장소에 맨 처음 소스를 넣을때 사용.

 

 

7. 파일 export 하기

* 체크아웃과는 달리 버전 관리 파일들을 뺀 순수한 소스 파일을 받아옴.

 

 

8. 새로운 파일 추가하기

svn add newfile.c

* 실제 변경사항은 커밋시에 적용됨.

 

 

9. 새로운 디렉토리 만들기

svn mkdir newdir

* 실제 변경사항은 커밋시에 적용됨.

 

 

10. 파일/디렉토리 삭제하기

svn delete[del, rm, remove] newfile.c

* 실제 변경사항은 커밋시에 적용됨.

 

 

11. 파일 이동하기

svn move[mv] test.c ./src/

* 실제 변경사항은 커밋시에 적용됨.

 

12. 파일 리스트 확인하기

 

 

13. 이전 작업들 되돌리기

svn revert (현재 디렉토리의 작업들 되돌리기)
svn revert newdir (newdir에 작업했던 내용들 되돌리기)

* 커밋전의 작업내용들을 되돌림. 커밋후에는 되돌릴 수 없음.

 

 

14. 소스 파일에 작업한 내용 확인하기

svn blame test.c
svn blame -r 4 test.c

* 한 소스파일을 대상으로 각 리비전에 대해서 어떤 행을 누가 수정했는지 알아보기 위한 명령.
* 출력 순서는 리비전, 커밋한 사용자의 ID, 소스 순임.

 

 

15. 파일 이름 변경하기

svn rename[ren] test.c sample.c

* 실제 변경사항은 커밋시에 적용됨.

 


16. 소스 서버 변경하기

svn switch --relocate [이전주소] [새로운주소]

 

 

 

 

 

 

 

 

 

 

반응형

'Linux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용한 RPM 명령어  (23) 2024.06.17
리눅스 PING 차단&허용  (0) 2015.05.07
SCP 명령어 사용법  (2) 2015.04.27
하드디스크 쓰기 속도 측정 방법  (0) 2015.04.23
랜선 연결 확인하는 방법  (0) 2015.04.23
반응형

1. svn폴더 위치

/source/svn


2. svn Repository 생성 방법

- root로 로그인하여 저장소 생성 (2가지 중 택1)

 

# 일반 파일시스템으로 생성 

$ svnadmin create --fs-type fsfs /source/svn/project1


# berkeley db 형식으로 생성

$ svnadmin create --fs-type bdb /source/svn/project1



- 생성된 Repository에 대한 계정설정파일 수정

  /source/svn/project1/conf/svnserve.conf

  # 인증받지않은 사용자에 대한 권한 (none)

anon-access = none

# 인증받은 사용자에 대한 권한 (write)

auth-access = write


# passwd 파일로 패스워드를 관리한다.

password-db = passwd



/source/svn/project1/conf/passwd

# 유저계정정보

user = password


- trunk, branches, tags 디렉토리 생성

$ svn mkdir svn://localhost/project1/trunk --username user

$ svn mkdir svn://localhost/project1/branches --username user

$ svn mkdir svn://localhost/project1/tags --username user

















반응형
반응형


navigator에서 new-other-Project from SVN을 선택하고 Next를 눌러주세요.
사용하고자 하는 Repository의 위치가 추가되어있지 않다면 Respoisory의 위치를  추가해야겠죠?
Create a new repository location을 선택하시고 Next 눌러주세요.





URL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넣어주고 Browse를 눌러 세부경로를 정합니다.
세부경로까진 기억이 잘 안 나니깐 우선 리파지토리로 로그인한 후 , 선택하는거죠.

svn : //ip/userid 
user : svn리파지토리 id
password : svn리파지토리 비밀번호
Save authentication : 이걸 체크해주시면 아이디랑 비번이 저장되겠죠 ^^
 






Browse를 누른 화면입니다.

또 3가지 폴더가 보이시죠?

trunk - 소스의 주 개발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branches - 소스의 실험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소스의 현재 버전을 유지보수 하고, 현재 버전을 기반으로 차기 버전을 개발할 경우 이 폴더 이용
tags - 현재 릴리즈된 소스를 관리하기 쉽게 따로 보관하는데 사용. 즉, 개발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보관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export만 해야 한다. 체크아웃하여 커밋 할 경우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다.
 
여기서 저희가 테스트프로젝트를 저장했던 branches-test프로젝트를 선택하여 줍니다.



세부경로까지 선택한 화면입니다.
이제 Next를 눌러주세요.



checkout from svn
해당 프로젝트가 여러버전이 존재할텐데요.
아래 옵션을 선택해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보통 최신본으로 하죠. ^^

Head Revision : 최신
Date : 날짜와 시간
Revision : 저장된 버전중 골라서
 




그뒤로 Next해주시면 다음화면이 뜨면서 프로젝트가 다운로드 됩니다.














 

반응형

'Programming >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에서 ICMP(핑) 응답 허용하기  (2) 2012.05.24
톰캣 Heap Size 설정  (0) 2011.12.29
톰캣 설치  (7) 2011.12.29
이클립스 SVN 사용법 - 프로젝트 업로드  (2) 2011.11.14
이클립스 SVN 플러그인 설치  (0) 2011.11.14
반응형


test프로젝트를 SVN에 업로드 하려고 합니다.
프로젝트를 선택하시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르고 Team-ShareProject를 선택해주세요. 





SVN을 선택하시고 Next버튼을 눌러주세요.






기존에 사용하던 SVN Repository가 있다면 선택한 후 하위경로를 더 써주면 됩니다.
사용하던 Repository가 없을 경우는 다음과 같이 URL에 입력합니다.





url에 svn://ip/계정을 입력합니다.
url옆에 browse를 누르고 사용자인증을 거치게 되면 

 

현재 계정밑에 유지되고 있는 3가지 폴더를 보실 수 있습니다.
저 3가지 폴더는 다음을 의미합니다.

trunk - 소스의 주 개발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branches - 소스의 실험적인 작업을 진행하는 폴더, 소스의 현재 버전을 유지보수 하고, 현재 버전을 기반으로 차기 버전을 개발할 경우 이 폴더 이용
tags - 현재 릴리즈된 소스를 관리하기 쉽게 따로 보관하는데 사용. 즉, 개발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보관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export만 해야 한다. 체크아웃하여 커밋 할 경우 경고 메시지가 출력된다.
 
 
저흰 주개발 업무를 위한 trunk를 선택한 후 프로젝트명을 추가해줍니다.

 

이제 프로젝트 생성 로그를 박아주시고






commit 로그도 입력해 줍니다.
로그의 생활화는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

'Programming > Window'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7에서 ICMP(핑) 응답 허용하기  (2) 2012.05.24
톰캣 Heap Size 설정  (0) 2011.12.29
톰캣 설치  (7) 2011.12.29
이클립스 SVN 사용법 - 프로젝트 다운로드  (2) 2011.11.17
이클립스 SVN 플러그인 설치  (0) 2011.11.14
반응형


 플러그인 다운로드
 
 참조 : http://www.eclipse.org/subversive/downloads.php

메뉴바에 Help-Install New Software로 들어가 다음의 사이트들을 추가합니다.
- Subversive plug-in 설치 

 
[ http://download.eclipse.org/technology/subversive/0.7/update-site/ ]
그림의 항목을 선택후 Next



Subversive SVN Connector
http://www.polarion.org/projects/subversive/download/eclipse/2.0/update-site/]
체크된 항목을 선택후 Next



Next 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설치 확인
 
package Explorer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누르고
new - other 에서 다음과 같이 SVN항목이 뜨는걸로 확인 가능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SVN 백업 및 복구는 관리자 명령이기 때문에 슈퍼유저(root) 권한으로 실행해야합니다.

1. 백업 방법
 (1) 백업하고자 하는 저장소의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2)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덤프파일을 생성합니다.
svnadmin dump [저장소 경로(상대경로가능)] > [덤프파일이름]
 (3) 저장된 덤프파일을 잘 관리하면 됩니다.

2. 복구 방법
 (1) 복구하고자 하는 저장소의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2) 아래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복구합니다.
svnadmin load [저장소 경로(상대경로가능)] < [덤프파일이름]

※ 주의 : 꺽쇠(-_-)의 방향은 백업시에는 [경로] > [파일], 복구시에는 [경로] < [파일]
반응형

+ Recent posts